Fast Track Method | |||
(설계시공 병행 진행방법) | |||
1. 개요 | |||
건설공사의 전통적인 계약방식이었던 설계-구매/계약-시공의 직렬식 방식에서, 공사기간의 단축 및 조기준공을 위한 설계, 구매, 계약, 시공의 각 단계를 일정기간중첩해서 진행하는 병렬식 계약방식이다 | |||
2. 적용목적 | |||
전통적인 계약방식에 비해 건설관리 및 조정 역할이 미진할 경우, 사업비 증가, 공기지연 등의 위험부담은 다소 있지만, 전체 공기단축으로 인한 영업수익 증대 및 전통적 방식에 비해 간접비의 절감에 목적이 있다. | |||
3. 특징 | |||
구분 | 순차적 진행방법 | 설계시공 병행 진행방법 | |
(Linear Sequential Method) | (Fast Track Method) | ||
장점 | ∘설계가 끝난 다음에 시공 착수로 | ∘총사업기간 단축 | |
설계변경 요인제거 | ∘목적물 조기완공으로 인한 | ||
∘발주자의 관리인력증가 억제가능 | 영업 수익 증대로 경제성 증가 | ||
∘건설사업관리에 대한 고도기법 | ∘세부 공종별로 전문기관 선정 및 | ||
불필요 | 가격인하 가능 등 | ||
단점 | ∘간접비 증가로 총사업비 증가 | ∘건설사업관리 비용증가 | |
∘사업기간 장기간으로 기회비용 | ∘설계와 시공의 공종세분화로 관리 | ||
손실 발생 | 능력부재시 품질저하요인 발생가능 | ||
∘설계변경 요인이 발생할 경우 계약 | ∘조기 착공으로 인해 계약변경요인이 | ||
변경에상당한 인력 및 기간 손실 | 과다하게 발생하여 건설비증가가능 | ||
초래 가능 | |||
4. 발전방향 | |||
Fast Track으로 건설사업을 진행시키는 방식이 전통적인 방식에 비해
위험부담이 크긴해도, 경제적인 측면 및 공기측면에 얻을 수 있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국내에도 이 제도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.
특히 이 제도활용 환경이 건설산업기본법내 건설사업관리제가 도입됨으로 인해 발주자의 건설사업관리 능력 미비를 충분히 보완할 수 있고 또한 민간기관 CM능력의 향상을 기대할수 있다. |
'Architecut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축공사 설계도서 우선순위 (0) | 2008.12.26 |
---|---|
H빔 규격별 치수, 단면적, 중량, 단면2차모멘트 반경, 단면계수 (0) | 2008.09.29 |
CBR(California Bearing Ratio)시험 (KS F 2320) (0) | 2008.09.19 |
측량용어 정리 (0) | 2008.09.04 |
품질시험 개요 (0) | 2008.08.07 |